구글 에드센스는 매우 대중적으로 인지도를 넓히게 됐습니다. 아마도 블로그+재테크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는 티스토리라는 플랫폼은 더 깊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을 것입니다.
솔직히 말씀드려서 저도 그 부류 중 한명입니다. 더 솔직히 고백하자면 네이버 블로그는 더 진정성 있고 주력이었다면 유입이 적은 티스토리는 주력에서는 비중이 적지만 최대한 솔직함을 비롯하지만 유입에서는 많이 약하다는 단점으로 블로그를 운영했습니다.
사실 에드고시라는 말도 있고 승인받기 어렵다는 말이 있었지만 그 말이 사실인걸 깨달았습죠. 2월 25일에 티스토리에 가입하고 첫 글을 게시한 이후로 3개월 후인 5월 말에 에드센스를 가입하고 승인을 처음 받으려고 도전했지만 항상 퇴짜를 맞았습니다.
승인 거절이 되어도 며칠 후에 바로 다시 신청하는 거 없이 한 달의 간격으로 승인을 시도했습니다만 총 3회 거절당하고 마지막 4번째에서 승인을 받았습니다. 얼마나 기분이 좋던지... 룰라의 3! 4!라는 노래처럼 3번 쓰러지고 4번째에 일어선다는 그 느낌을 받았습니다.
에드센스를 받기위해 책도 구매하고 글자 1000자 이상 그리고 최대한 카테고리는 3개 정도 아님 그 이하를 유지하며 전문성을 유지해야 하고 다나까나 아님 요를 붙이며 최대한 일관성 있는 말투로 글을 작성해야 하는 것은 기준보다는 이미 티스토리에서 암암리에 정해진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그것보다 더 중요한것은 체류시간이나 블로그를 개설한 지 6개월이 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직감하게 되었습니다.
앞서 말한것은 티스토리에서 에드센스를 승인받기 위한 기준이 아닌 기본이고 얼마나 꾸준히 운영하느냐와 자신의 글의 유입된 체류시간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물론, 이것은 개인적인 생각이며 케이스 바이 케이스일수 있습니다. 어떤 이는 블로그 개설한 지 얼마 안 되어도 파워풀하고 영향력 있는 글로 얼마 안 된 시간과 얼마 없는 발행 글수로 승인이 된 사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사례는 소수이며 분석해보면은, 저같은 소상공인급 티스토리 블로거들에게는 기본은 지키며 블로그 개설 운영기간이 승인을 받은 이유 중 가장 큰 이유였던 거 같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더 진솔하게 말하자면 블로그는 즐겼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하도 블로그만해도 본업 월급에 밀리지 않는 수익을 벌 수 있다는 말이 있는데 그것만을 믿고 바란다면은 블로그를 하는 거 자체가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는 걱정입니다.
블로그로 성공하고 돈도 따라오는 경우는 분명 있습니다. 하지만 블로그를 하는 대다수의 사람이 그렇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자신만의 콘텐츠로 저장하고 발행하면서 만족감을 갖는 분들이 수익이 있으면 좋은 것이고 부진하면 그런가 보다 하는 마음으로 운영했으면 좋겠다는 오지랖입니다.
요행을 바라지 않고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돈이 안되어도 에드센스라는 자체가 무언가에 대한 보상 겸 성취감이라고 생각하셨음 좋겠습니다.
참고로 구글 에드센스 1차 승인 2차 승인이라는 말이 있는데, 에드센스를 가입하고 신청하고 승인을 받으면 그것이 끝입니다. 2차 승인이라는 것은 없고, 1차 승인만 받으면은 광고를 게재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저도 2차 승인까지 있는지 착각하여서, 굉장히 헷갈렸던 사례가 있었습니다. 1번만 승인받으면 되는 것이니 안심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티스토리 운영자님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요약해서 구글 에드센스를 승인받기 위해 가장 중요한 4가지는
1. 기본은 지키자(글자수 천자 이상 및 글 끝에 다나까나 요자로 끝나는 일관성 맞춤법도 중요)
2. 블로그 활동을 한지 6개월 이상의 지속성
3. 글의 퀄리티나 양질의 글로 인한 체류시간
4. 카테고리는 간소하게 5~6개이상이 아닌 2~3개로 줄여서 그 부문을 잘 파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별로 방문수없는 인기 없는 블로거의 개인적인 의견 및 자축 글이었습니다.
'일상 및 정보알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로소펜(덱시부프로펜): 또 하나의 무난하고 평이한 두통약 (0) | 2020.11.10 |
---|---|
송미령 (대만 총통 장카이섹의 부인) : 세계 지배를 꿈꾼 여인 (0) | 2020.10.07 |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10문 10답 (2003년 인터뷰 내용) (0) | 2020.09.14 |
<타임>선정. 지난 100년간 세계를 바꾼 대사건들 -2부- (0) | 2020.08.29 |
<타임>지 선정. 지난 100년간 세계를 바꾼 대사건 Top 8 -1부- (0) | 2020.08.23 |